한반도 서남부 끝자락에 위치한 전라남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섬과 복잡한 해안선을 가진 다도해의 중심지역입니다. 목포시를 중심으로 한 전라남도는 22개 시군이라는 전국 최다의 기초자치단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수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한 중화학공업과 함께 풍부한 해양자원을 바탕으로 한 수산업, 그리고 아름다운 다도해 경관을 활용한 해양관광업이 조화롭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는 ‘전라도’의 남부 지역으로서 예로부터 해양문화와 농업문화가 발달한 지역입니다. 현재는 전통적인 1차 산업과 함께 중화학공업, 관광업 등이 균형 있게 발전하면서 지역경제의 다각화를 이루어가고 있으며, 특히 신안 해상풍력단지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기본 현황
전라남도는 한반도 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로서 서쪽과 남쪽으로는 서해와 남해, 동쪽으로는 경상남도, 북쪽으로는 전라북도와 인접해 있습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해양문화가 발달했으며, 2,000여 개의 섬을 보유한 우리나라 최대의 다도해 지역입니다.

전라남도는 조선시대 전라도의 남부 지역으로 출발하여 1896년 13도제 실시와 함께 현재의 행정구역을 형성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목포항을 통한 수탈의 아픔을 겪었지만, 해방 이후 조선업과 석유화학업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 중화학공업의 중요한 거점으로 성장했습니다.
인구 현황과 특징
전라남도의 인구는 2025년 8월 현재 약 180만명으로 집계됩니다. 이는 전국 인구의 약 3.5%에 해당하는 수치로, 넓은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인구밀도를 보이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인구밀도는 ㎢당 약 150명으로, 전국 평균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이는 전라남도가 22개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많은 지역이 농촌이나 도서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전라남도의 인구 구성은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젊은 층의 수도권 및 대도시 유출이 지속되면서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수, 순천 등 주요 도시와 산업단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습니다.
면적과 지리적 특성
전라남도의 전체 면적은 12,247.96㎢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약 12.2%에 해당하는 규모로, 경상북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넓은 광역자치단체입니다.
전라남도의 지형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특징을 보입니다. 내륙 지역은 구릉지와 평야가 발달해 있으며, 해안지역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과 수많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히 서남해안의 다도해는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합니다.
22개 시군 구성과 특징
전라남도는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를 보유한 광역자치단체입니다. 목포시가 도청 소재지로서 전라남도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목포시는 전라남도의 행정 중심지이자 서남해안의 관문도시로서 목포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업이 발달해 있습니다. 또한 근대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있어 역사문화관광의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여수시는 여수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석유화학 산업의 메카입니다. 또한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를 개최한 국제적인 해양관광도시로도 유명합니다.
순천시는 순천만 국가정원과 순천만 갯벌로 유명한 생태관광의 중심지입니다. 또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조선업과 석유화학산업
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조선업과 석유화학산업의 중요한 거점입니다. 특히 여수와 광양, 목포 등을 중심으로 한 중화학공업 단지들이 국가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여수국가산업단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석유화학 복합단지로서 GS칼텍스, 여천NCC, LG화학 등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이 집적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들은 국내외 시장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조선업도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산업입니다. 목포의 한국조선해양과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 등이 위치해 있어 대형 선박과 해양플랜트를 건조하고 있으며, 세계 조선업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광양제철소는 포스코의 주력 생산기지로서 연간 1,800만 톤 이상의 조강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철강 산업의 핵심 시설로서 자동차, 조선, 건설 등 각종 산업에 필요한 철강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농업과 수산업
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농업과 수산업 기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온화한 기후와 비옥한 토양, 그리고 풍부한 해양자원을 바탕으로 다양한 1차 산업이 발달해 있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쌀을 비롯해 배, 감, 마늘, 양파 등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주 배, 고흥 유자, 신안 마늘 등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특산품으로 브랜드화에 성공했습니다.
수산업은 전라남도의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입니다. 복잡한 해안선과 수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서남해안은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가 되고 있으며, 김, 굴, 전복 등의 양식업도 매우 발달해 있습니다.
축산업도 활발합니다. 한우, 돼지, 닭 등의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한우는 품질이 뛰어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해양관광과 다도해
전라남도는 2,000여 개의 섬과 아름다운 해안선을 보유한 우리나라 최고의 해양관광 지역입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 해양관광이 전라남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홍도와 흑산도는 서해의 대표적인 관광섬으로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독특한 섬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특히 홍도의 기암절벽과 흑산도의 일몰은 전국적으로 유명합니다.
완도와 진도는 각각 전복과 울돌목으로 유명한 섬들입니다. 완도는 전복 양식의 메카로서 우리나라 전복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진도는 진도개와 진도 아리랑으로 유명합니다.
순천만은 세계적인 갯벌 생태계를 보유한 곳으로서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순천만 국가정원과 함께 생태관광의 명소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와 미래산업
전라남도는 풍부한 일조량과 강한 해풍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상풍력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어가고 있습니다.
신안 해상풍력단지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로서 총 8.2GW 규모로 건설될 예정입니다. 이는 전라남도가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태양광 발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넓은 농지와 염전을 활용한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들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는 농어민들의 새로운 소득원이 되고 있습니다.
수소경제 분야에서도 전라남도는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수소생산, 저장, 활용이 가능한 수소 클러스터 구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의 더 자세한 정보와 각종 행정서비스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전라남도와 다른 지역들의 비교 정보를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다음 글들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전라남도는 중화학공업과 해양관광, 그리고 신재생에너지가 조화롭게 발전하는 다도해 중심지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풍부한 해양자원과 함께 미래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전라남도의 미래가 기대됩니다.